ADC와 AI가 암정복 위한 K-바이오 도전 이끈다

2025. 1. 19. 06:38세계뉴스/경제뉴스

반응형

 

🚀🧬

최근 열린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차세대 항암제 기술로 **ADC(Antibody-Drug Conjugate)**와 AI가 주목받으며 바이오 업계의 화두로 떠올랐습니다. ADC는 특정 암세포를 정밀 타격하는 기술로, **"생물학적 유도 미사일"**로 불릴 정도로 강력한 효능을 자랑합니다. 바이오 업계와 투자자들은 이 기술을 통해 항암제 시장의 판도를 뒤흔들 잠재력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 ADC 시장의 성장 가능성

 

  • 2023년 ADC 시장 규모: 97억 달러
  • 2028년 예상 규모: 300억 달러 (+200% 성장)
  • ADC는 AI와 함께 바이오 산업의 핵심 동력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국내외 증시에서도 관련 기업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 국내 주요 ADC 관련 기업

 

  1. 삼성바이오로직스
  2.  
  • ADC 신약보다는 생산시설 확장과 대규모 수주에 초점.
  • 글로벌 CDMO(위탁개발생산) 매출 기준 4위.
  • 2023년 유럽 제약사로부터 2조 원 규모 수주.

 

 

2.셀트리온

 

  • 2028년까지 13개 신약 파이프라인 공개.
  • ADC 개발에 집중 투자하며 장기적인 성장 전략 실행 중.

 

 

3.리가켐바이오

 

  • 2023년 얀센바이오테크와 2조 원 규모 기술 수출 계약.
  • 삼성과 협력해 3건 이상의 ADC 프로젝트 진행.
  • 2025년 예상 매출: 2117억 원 (+62.8%).

 

 

4, 에이비엘바이오

 

  • 기술 이전 자금으로 ADC 개발에 재투자.
  • 2025년 예상 매출: 853억 원 (전년 대비 2배 증가).

 

5. 종근당

 

  • 네덜란드 기업과의 기술 도입으로 ADC 항암제 개발 본격화.
  • 2024년 예상 매출: 1조6813억 원, 순익 증가로 배당 매력도 상승.

 

 

6. 동아에스티

 

  • 자회사 앱티스를 통해 ADC 치료제 개발.
  • 정확한 암세포 타격 기술인 앱클릭 보유.

🔍 투자 포인트

  • ADC 관련 기업들은 대부분 흑자 전환 단계에 있어 유상증자와 같은 단기적인 주가 변동 가능성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 하지만 장기적으로 ADC와 AI는 바이오 업계의 미래 성장을 이끄는 핵심 축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보입니다.

📌 결론

K-바이오 기업들은 AI와 ADC 기술을 통해 글로벌 바이오 시장에서 입지를 넓히고 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생산 역량, 셀트리온의 신약 개발, 리가켐바이오와 에이비엘바이오의 기술 수출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이 각자의 강점으로 성장하고 있죠.

단기적인 주가 변동성은 감수해야 하지만, ADC가 바이오 산업의 미래를 이끌 기술로 자리 잡을 가능성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