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관세 전략과 그 이면: 캐나다·멕시코 25%, 중국 10%의 이유는?
2025. 2. 2. 20:57ㆍ세계뉴스/경제뉴스
반응형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재임 당시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에는 10% 관세로 시작하는 독특한 전략을 펼쳤습니다. 왜 중국엔 낮은 관세부터 시작했을까요? 이 관세 정책의 배경과 숨겨진 의도를 살펴보겠습니다.
1. 중국에 낮은 관세를 적용한 이유
중국에 낮은 관세(10%)부터 시작한 이유는 협상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장기 전략이었습니다.
- 점진적 관세 인상: 중국이 트럼프의 요구를 수용하지 않을 경우, 관세를 5~10%씩 추가 인상하는 협상 카드를 계속해서 활용할 수 있음.
- 중국 내 공포 증대: 한 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면 협상 여지가 사라질 수 있으니, 점진적으로 압박해 중국의 경제적 긴장감을 키우려 한 것.
2. 캐나다·멕시코에 높은 관세(25%)를 부과한 이유
트럼프가 캐나다와 멕시코에 높은 관세를 부과한 주된 이유는 중국의 우회 수출 차단이었습니다.
- 중국-멕시코/캐나다 우회 수출 구조
- 중국은 부품과 반제품을 멕시코로 수출 → 멕시코에서 완제품으로 만들어 미국에 수출.
- 멕시코와 미국 간 무관세 조약 덕분에 중국산 제품이 간접적으로 미국에 들어옴.
- 결과적으로 멕시코가 아닌 중국이 이익을 가져가는 구조였음.
트럼프는 이 구조를 차단하기 위해 멕시코와 캐나다에도 25% 관세를 적용해 우회 수출 루트를 차단했습니다.
3. 미국의 생산기지 확보 전략
트럼프의 관세 전략은 단순히 무역 보호를 넘어, 미국 내 생산기지 확보라는 경제적 목표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 멕시코·캐나다 경제 타격
- 높은 관세로 인해 공장·설비의 가치가 하락할 가능성.
- 미국 기업이 이를 저렴하게 매입해 생산기지로 활용 가능.
- 결과적으로 자본을 회수하고, 생산 기반을 다시 미국으로 이전.
4. 멕시코의 정치 상황과 관세의 영향
멕시코는 새 여성 대통령이 마약 카르텔과 연관되어 있다는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 펜타닐 문제: 트럼프는 멕시코 정부에 펜타닐 배포 중단을 요구했으나, 이를 이행하지 않을 가능성이 제기됨.
- 정치적 변화 유도: 경제 위기를 이용해 친미 성향의 대통령을 세우는 것이 트럼프의 전략 중 하나로 보임.
5. FTA 체결국 중 우회 수출 경유지 국가
캐나다와 멕시코 외에도 한국, 일본 등 FTA 체결국이 중국의 우회 수출 루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한국도 잠재적 타깃?
- 한국은 과거 중국 간접 수출의 경유지로 지목된 사례가 있음.
- 따라서 트럼프의 관세 타깃이 될 가능성이 존재.
6. 한국이 타깃이 되지 않을 이유
하지만 한국은 트럼프 관세 정책의 타깃이 되지 않을 가능성도 높습니다.
- 미국 의존 산업: 한국은 반도체, 2차 전지, 조선, 철강, 자동차 등 미국이 의존하는 핵심 산업을 보유.
- 동맹 관계 유지: 미국은 중국 견제를 위해 한국과의 동맹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 한국은 균형 외교를 통해 이 위기를 기회로 전환해야 합니다.
7. 다음 타깃은 유럽?
트럼프의 관세 전략은 중국에 대한 압박이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유럽으로 관심을 돌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 유럽과의 무역 문제 해결이 트럼프의 다음 주요 과제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8. 결론: 트럼프 관세 정책의 본질
트럼프의 관세 전략은 단순한 무역 조정이 아니라, 정치적·경제적 영향력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이러한 변화 속에서 전략적 외교로 위기를 관리하고, 미국과의 협력을 강화하며 기회를 찾아야 할 시점입니다.
반응형
'세계뉴스 >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M7 시대는 끝났을까? 미국 증시 전략 변화와 해외 투자 기회 (0) | 2025.02.04 |
---|---|
딥시크발 충격, 엔비디아 주가 하락…코스피는? (0) | 2025.01.30 |
SKC, '꿈의 기판' 유리기판으로 주가 고공행진 🚀 (0) | 2025.01.27 |
💿 음악 저작권 투자, 새로운 재테크 트렌드! 🎶 (0) | 2025.01.26 |
레이 달리오의 경고: 대안 화폐를 생각해야 할 때 (1) | 2025.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