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2. 10. 14:14ㆍ일상
당신이 궤양성 대장염을 한 창 앓고 있다면 지난 저녁에 먹은 매운 음식들이나 오늘 이침에 먹은 라지 사이즈 커피를 후회하고 있을지 모릅니다. 그러나 그것 말고도 수 많은 음식 요인,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궤양성 대장염은 악화 될 수 있습니다. 그 만큼 염증은 예측 불가입니다.
증상을 완전히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없지만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은 존재합니다.
그리고 여기 흔히 범하는 10가지 실수가 있습니다. 이 실수들을 고쳐서 더 나은 삶을 보내시면 좋겠습니다.
1.
궤양성 대장염 약을 챙겨 먹지 않는다.
iStock
당신이 궤양성 대장염을 앓고 있다면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가장 중요한 것은 처방된 약을 잘 챙겨 먹고, 의사 근처에 머물면서 잘 찾아 가는 것입니다."
라고 리처드 블룸펠드 박사는 말합니다. 그는 노스캐롤라이나 윈스턴 살렘 웨이크 포레스트 발피스트 메디컬 센터의 교수이며 내과전문의 입니다.
당신의 건강상태와 병의 진척도에 따라 궤양성 대장염을 다스릴 약은 아주 많습니다.
아마 당신은 증상이 조금 호전되었다고 느낀다면 약 먹는 것을 그냥 넘겨버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2013년 1월, 캐나다 리뷰에서 발간된 ' Gastroenterology '에 따르면 궤양성 대장염을 앓고 있는 1,681명 중 대다수가 약을 먹고 1년이 지나면 어느 순간부터는 약을 잘 챙겨먹지 않게 된다고 밝혔습니다.
시카고의 노스 웨스턴 대학에서 조교수를 하고 있는 로라 연은
"약을 건너 뛰는 것은 사람들이 염증 증상을 경험하는 가장 큰 이유다."라고 말했습니다.
아무리 의사가 항염증제나 면역억제제를 처방해 주었다고 하더라도 당신이 그 약을 먹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는 것입니다.
2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Getty Images
사람들은 궤양성 대장염의 염증 증상을 경험하기 전에 큰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블룸펠드 박사나 연 박사는 이 사실에 크게 동의합니다.
2019년 1월에 발표된 'Journal of Crohn’s and Colitis'연구에 따르면 IBD(염증성 장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 (여기에는 물론 궤양성 대장염이 포함됩니다.)을 조사해본 결과 염증 증상을 크게 앓기 최대 3개월 전 즈음 부터 큰 스트레스적인 상황을 겪었다고 말합니다.
스트레스는 장내의 염증을 악화시키고 궤양성 대장염을 심각하게 만듭니다. (2015년 12월에 발표된 the journal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Medicine에 따르면 그렇습니다.)
게다가 스트레스는 당신의 일상적인 생활을 방해하고 음식 습관과 수면 습관을 망치며 심지어는 약을 먹는 습관 역시 망가뜨릴 수 있습니다.
연의 클리닉에서는 심리전문의가 궤양성 대장염을 앓고 있는 사람의 긴장을 풀어주기 위해 대기중이기도 합니다. 명상이나 요가 등의 방법으로 스트레스를 다루는 것이 큰 도움이 됩니다.
3
음식 조절을 하지 않는다
Lumina/Stocksy
"궤양성 대장염을 악화시키는 어떤 음식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닙니다." 연 박사는 설명합니다.
그러나 많은 환자들은 어떤 특정 음식이 증상을 일으키고 심지어는 악화시키기도 한다고 말합니다. 염증이 한창일 때, 당신을 진찰하는 의사는 분명히 음식을 조절하라고 말 할 것입니다.
이것은 먹었을 경우, 설사나 가스를 차게 하거나, 경련을 일으키는 음식을 피하라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유제품은 궤양성 대장염이나 유당불내증을 가진 사람을 힘들게 만들 수 있습니다.
유제품 뿐만 아니라 콩이나 잡곡, 땅콩, 씨앗 등의 음식 또는 과일이나 채소, 고지방음식, 단 음식, 알콜 등 또한 좋지 않습니다.
만약 당신이 어떤 음식을 피해야 하는 지 파악하고 싶다면 계속해서 '음식 일기'를 써보길 추천 드립니다. 그리고 그걸 통해 적절한 영양 섭취도 이뤄지고 있는지 파악해 보시길 바랍니다.
4
도움이 될만한 음식을 안 먹고 있다
iStock
만약 당신이 지금 복통이나 경련, 메스꺼움 등의 증상을 겪고 있다면 건강한 음식을 먹기 힘들 것입니다. 그러나 당신이 건강한 음식을 먹지 않는 다면, 영양 불균형이나 영양 실조 심지어는 체중 감소를 겪을 수 있습니다.
물론 모든 사람들에게 다 좋은 음식은 없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낮은 섬유질의 과일 (바나나, 요리된 과일 등),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 조리된 야채 그리고 오트밀 같은 곡물등이 있습니다. 의사나 염증성 장질환에 특화된 식단 전문가들이 당신에게 특화된 식단을 짜 드릴 수도 있습니다.
5
물을 충분히 마시지 않는다
iStock
만약 현재 설사 증상이 지속된다면 당신은 탈수 증상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이는 당신의 건강 상태 전반에 악영향을 주며, 몸이 회복할 능력을 방해하게 됩니다.
궤양성 대장염 증상이 활발할 때는 최대한 많은 물을 드십시오. 만약 설사 증상이 있다면 단순하게 당신이 마셔야 겠다고 생각한 양의 물 보다 2배는 더 마시면 됩니다. 그 외에 장에 흡수되지 않는 당이 포함된 음료들을 드시는 것도 좋습니다. (Crohn’s and Colitis Foundation 에서)
6
카페인이나 알콜을 마신다
iStock
커피, 차 그리고 탄산은 궤양성 대장염을 악화 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카페인이 당신의 장을 자극해 설사 증상을 악화시키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맥주나 와인 등의 술도 그렇습니다. 궤양성 대장염이 있는 분들은 카페인이나 술을 피해야합니다.
7
탄산 음료를 마신다
iStock
당신이 한창 궤양성 대장염에 시달리고 있을 때는 탄산이 들어간 음료 때문에 가스가 차서 아주 불편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런 음료들이 카페인과 설탕을 잔뜩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당신은 설사 등의 증상을 겪게 될 것입니다. 안 좋은 물질을 2가지나 섭취하게 되는 것은 최악의 선택입니다. 되도록이면 그냥 물을 추천드립니다.
8
과식한다
iStock
궤양성 대장염 증상이 활발할때, 당신은 조금씩 그리고 자주 먹어서 장의 부담을 줄여주어야 합니다. 하루에 3끼를 거하게 먹는 대신, 좀 더 잘게 쪼개서 5~6회 조금씩 먹는 편이 좋습니다.
이 방법은 궤양성 대장염으로 겪는 증상을 줄이는데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또한 이 방법은 메스꺼움이나 식욕 상실등에 대처하기 위해 좋은 방법입니다.
9
당신은 먹는 약을 바꿀 필요가 있다
iStock
항생제는 궤양성 대장염의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물론 당신의 의사가 궤양성 대장염 관련 감염을 막기 위해 항생제를 처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만약 당신이 항생제를 처방한 뒤에 설사 등의 증상을 겪는다면 약의 종류를 바꿔야 할지 모릅니다. 의사는 지사제를 처방하거나 프로바이오틱스등을 처방해 설사를 줄이려 할지 모릅니다.
10
올바른 치료 계획이 없다
iStock
궤양성 대장염 증상이 얼마나 다른가에 따라서 그리고 당신이 약에 얼마나 잘 반응하는가에 따라 치료 계획이 달라집니다. 보통, 처음에는 가장 덜 공격적인 치료법을 택하게 되고 필요하다면 점점 강한 약을 사용하게 됩니다.
잦은 염증, 입원 또는 단기간의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처방은 당신의 현재 치료 전략을 바꿔야 한다는 말입니다. 만약 현재의 치료에 만족하고 있지 못 하다면 바로 의사에게 이야기해서 다른 선택지를 고르도록 해야합니다.
(출처)
https://www.everydayhealth.com/ulcerative-colitis-pictures/ulcerative-colitis-common-mistakes.aspx
10 Common Mistakes That Can Make Ulcerative Colitis Worse | Everyday Health
Common lifestyle habits can undermine your ulcerative colitis treatment. Learn steps to take to ease life with ulcerative colitis and avoid worsening a flare.
www.everydayhealth.com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른문화연구소- 아폴론 새총 (2) | 2021.03.07 |
---|---|
크론병은 어떤 음식을 먹어야 하나? (feat. 궤양성 대장염) (0) | 2021.02.27 |
프로바이오틱스와 궤양성 대장염 : 효과와 치료 (0) | 2021.02.20 |
염증성 장질환, 급증하는 환자들 (0) | 2021.02.03 |
오랜만에 글을 씁니다 (2) | 2021.02.02 |